피식피식하며 가벼운 마음으로 쭉쭉 읽히는 좋은 작품입니다. 《천재작가의 랜덤 작업실》의 주인공 김진우는 보조작가로 일하다가 노동 착취와 자기 자식과 같은 작품들을 뺏어가는 메인작가를 향해 버럭 소리치며 작업실을 뛰쳐나갑니다. 그 직후에 시스템교(?)를 만나 천재작가로 진화합니다. 진화한 김진우는 시스템교에서 지정한 장소에서만 천재적 글솜씨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그 장소가 엔터테인먼트 회사의 실장님 집이기도 하고, 율돌목, 아마존, 북극점 심지어 지구를 벗어나기도 합니다. 김진우는 시스템교에서 은밀히 도와주기 때문에 그 모든 장소에 성공적으로 안착해서 글을 쓰고 발표하는 글마다 흥행에 성공하게 됩니다. 이런 에피소드들 중간중간에 글맛 작가의 개성넘치는 유행어(?), 신조어(?) 등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신조어 등을 한글 파괴라고 생각하며 혐오하시는 분은 이 작품을 피하는게 좋겠습니다. 짧은 호흡으로 툭툭 던지는 대사가 주를 이루는 《천재작가의 랜덤 작업실》은 지루하지 않아서 좋지만 그 때문에 큰 카타르시스도 없습니다. 하지만 가볍고 웃을 수 있는 작품을 찾는다면 추천합니다.
"잃은 것의 크기와 어떻게 타협해야 할지 몰랐"던 리이치로와 하루는 사산이라는 크나 큰 사고에서 서로의 절망과 멍울을 보지 못하고 각자 마음을 감추는데 급급하다 이혼합니다. 그들은 1년 3개월의 결혼 생활 후에 "각자의 인생올 다시 살아보자"고 다짐합니다. 하지만 이혼 후에 더욱 상대를 배려하는 부부인듯, 연인인듯, 친구같은 사이가 되어버리죠. 제대로 마무리짓지 못한 마음때문에 이혼 후의 그들은 자학과 할큄의 연속입니다. 리이치로는 이혼 후에 만나는 여자를 무의식 중에 하루와 비교하곤 합니다. 여성의 대표성을 하루에게 부여하고 리플리 증후군을 앓게 됩니다. 하루를 행복하게 만들지 못할 것 같아 스스로는 다른 여자를 사랑한다고 믿고 하루를 행복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 남자를 소개해주죠. 그런데 하필 그 타이밍이, 하루가 리이치로에게 재결합의 의사를 전하려고 하는 날에 다른 남자를 소개합니다. 이 때 하루는 리이치로와 다시 시작하려는 마음을 완전히 닫게 됩니다. 하루는 리이치로가 새출발을 해야 스스로의 마음을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아 리이치로와 다른 여자의 사랑을 응원합니다. 그리고 스스로의 마음을 인정하는 과정을 거쳐 “당신이 보이는 곳 하지만 당신은 날 볼 수 없는 곳에” 있기로 합니다. "골목에는 사람의 왕래가 끊기고, 자동판매기만이 어둠속에서 번쩍번쩍 빛을 뿜어냈다. 마치 뭐랄까. 밤바다에 내던져진 인간이 반짝이는 부표를 붙잡고 구조를 기다리고 있는 듯한……그런 고독감이 밀려들었다." 리이치로의 연애를 응원하는 하루의 고독감입니다. 전남편을 계속 사랑하기로 스스로 결정했지만 참담합니다. 하루는 응원이 결실을 맺어서인지 리이치로는 학창시절 첫사랑과 결혼을 하게 됩니다. 그 결혼식에서 하루는 축하의 말을 마음속으로 전합니다. "축하해, 내 사랑……." 《연애시대》는 96년에 발표한 작품이지만 구태의연하지 않고 굉장히 현대적인 느낌입니다. 막장 요소까지 현대적이죠. 등장하는 모든 여성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