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처음부터 잘 쓰는 사람은 없습니다 - 이다혜

읽다

“선배님. 술 한 잔 사주세요!”

“그래. 오늘 회포를 풀어보자.”

그렇게 좋은 시간 속에서 직장 선배와 대화하는 느낌이다. 처음에 선배는 이런 말을 했다.

요즘의 많은 글쓰기 책들은 ‘취향입니다. 존중해주시죠’를 길게 풀어쓰는 법을 가르쳐. 문법이나 구성이라는 글쓰기의 고전적 도덕률에 충실해서는 인기 없거든. 자기 목소리 내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법이야말로 요즘 글쓰기 책들이 가르치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야. 당연한 말이지만 그 글이 팔려야, 책으로 내지 않더라도 블로그를 통해서라도 널리 읽혀야 그 가치를 인정받아.


 

“그렇죠. 내 책을 쓰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될까요?”

천기를 누설하자면, ‘무조건 매일 같은 시간에 책상에 앉아서 뭐든 써’야 돼.

내가 가장 애용하는 글쓰기 루틴은 매일 턱밑에 차오른 마감에 허덕이며 우는 거야. 편집자에게 “죄송합니다”로 시작하는 메일을 언제 쓸지 매일 고민하는데, 그 메일을 생각하면 비록 눈물을 흘리더라도 원고를 시작할 수 있게 돼.

마감이 없는 글쓰기를 시작한 사람들은 일단 뭐든 루틴을 만들면 좋겠지.


 

“추천할 만한 방법이 있나요?”

음.. 일단 장소를 만들어. 식탁이나 커피숍. 여기 앉으면 글 쓰는 거야, 라고 생각하는 작업실을 만들고 시간을 정하는 거지.

그리고... 많이 읽으면 좋겠지. 꼭 많이 읽는다고 잘 쓰는 건 아니지만 아예 안 읽는다면 애초에 멀쩡한 글을 쓸 확률이 낮잖아. 어휘력이 부족해지고, 가용한 문장의 형태가 단순해지지.


 

“어떤 사람들은 작업할 때 헤비메탈을 듣잖아요? 선배는 어때요?

나는 바흐의 음악을 듣는 편이야. 바흐의 음악을 들으면서, 이런 재능을 가진 사람도 먹고살려고 이렇게 많은 곡을 썼다는 점을 상기하며 스스로를 채찍질하지.

또, 글 쓰기 전에 손 씻는 사람이나 향초를 키는 사람도 있어.


 

“노력하긴 싫지만 잘 쓰고는 싶은데 좋은 방법 없나요?”

그래. 우리의 결점은 인내가 없다는 거지. 그런데 에너지가 부족한 것은 아니잖아?! 그래서 고쳐 쓰기를 계속하면 돼. 퇴고를 할 때는 ‘남의 시선으로 읽기’가 중요해. 글을 쓰는 입장에서는 충분히 알고 있는 소재에 대해서 쓰잖아, 행간에 생략한 내용도 자동으로 내적 재생해가며 읽는단 말이지. 그렇게 본인 글을 본인의 마음으로 읽으면 백번 읽어도 수정이 어려워. 심지어 맞춤법을 잘못 알고 있는 경우 특정 오타만 반복해 쓰는 경우도 있어. 글에도 습관이 있어.

문자의 형태를 한 의사소통을 할 때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습관이 교양이 되지 않게 하는 문명화 작업을 해 봐 


 

“‘잘 읽히는 글’은 어떻게 써야 되는 거죠?”

 용건이 명료한 글일수록 잘 읽혀. 중언부언하면서 필자 자신이 무슨 말을 하려는지 불분명한 글의 경우에는 아무리 쉬운 단어만 있어도 잘 읽히지 않는다는 인상을 주지. 또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글에서 전문 용어가 주석 없이 나열될 때도 읽기 까다롭다는 인상을 주고.

또 잘 읽히는 글을 쓸려고 모든 것을 ‘풀어’ 설명할 수는 없어. 필자가 어렵게 보이게 쓰는 글도 있지만, 어려운 이야기를 쓰느라 어려워진 글이 있어. 철학이 대표적인 경우고 ,역사 또한 그렇지. 철학자가 쓴 책을 이해할 수 없어서 해설서(심지어 비전공자의)만 읽고 철학자의 사상에 대해 논할 수는 없잖아!


“네... 선배! 2차 갈까요? 연애 얘기도 듣고 싶어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환생표사 - 신갈나무

장르소설을 읽는 주된 이유 중에 하나는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싶어서입니다. 현실에서는 존재할 수 없는 전능한 능력을 가진 인물이 팍!팍! 능력을 사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장면이 그렇습니다. 대부분 이 전능한 능력은 무력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환생표사는 조금 다릅니다. ‘말빨’에 집중되어 있지요. 그렇다고 기연이 없거나 주인공이 무력이 약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기연을 얻어 내공만큼은 절대고수에 육박하지만 깨달음과 초식 운용 능력이 사사합니다. 그래서 꾀와 말빨로 대부분의 사건들을 해결합니다.  아래는 환생표사의 한 장면입니다. 

맥북 사용설명서 - 블루투스 기기로 이 컴퓨터 깨우기 허용

당신의 맥북이 잠자는 동안에도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고 발열증상이 있다면 이것을 의심해 보세요. 에어팟이나 각종 블루투스 기기들 때문에 맥북이 제대로 잠들지 못하고 불면의 밤을 지새우고 있을 수 있습니다.

전직지존 - 장영훈

  백소천은 무림맹에서 승승장구, 탄탄대로의 상황입니다. 그런데 흑천맹주와 정사대전 최후의 일전으로 단전을 뜯깁니다. 승승장구, 탄탄대로의 두 배속으로 몰락합니다. 유배와 마찬가지인 시골로 발령이 나고 그곳에서 기연을 만납니다. 단전 안에 단전을 만드는 기연이죠. 다시 무림맹 본단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저는 이후에 백소천이 무적이 되어 다 쓸어버리는 줄거리를 상상했습니다만, 장르는 로맨스와 힐링물로 넘어갑니다. 인간적인 매력으로 정사를 쓸어 담아 버립니다. 백소천의 매력에 쓸린 정사대전은 자연히 억제가 되고, 심검지경을 이룬 소천은 모든 관계를 끊고 은거에 들어갑니다.  다루를 운영하며 염원했던 평온하고 평범한 일상을 살아나가는데, 과거의 인연들이 자연스럽게 소천의 다루로 몰리게 됩니다. 그러다 큰 사건에 휘말리고 다시 한 번 무림을 구하는 이야기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진지한 투쟁의 앞 부분보다, 힐링물로 장르가 전환되고 나서가 더 재미있었습니다. 장르소설 중에는 끝까지 읽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는 작품들이 굉장히 많은데 장영훈 작가의 작품은 다 읽어보진 못했지만 그래도 읽었던 작품들은 전부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전직지존에서는 현재 시대에 있는 아이템들을 무협 세상과 결합한 아이디어들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는 청춘주점입니다. 청춘주점은.. 그러니까 나이트 클럽입니다. 이 청춘주점에서 흑천맹주와 무림맹주가 우정을 다지는 모습은 유쾌합니다. 청춘주점에서 소천은 정인과 '조우'하기도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