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역사의 역사》 - 유시민 / 돌베개 <서평>


여행을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을 뭘까? 패키지여행은 일정을 소화하는데 상당한 체력이 필요하고, 여행지를 음미하며 소화할 시간이 부족해 그곳의 진짜 모습을 놓칠 수도 있다. 자유여행은 패키지 여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전적으로 부담이 크고, 디테일에 치중한 나머지 전체적인 상이 흐릿할 수 있다. 하지만 지역의 진정한 특색에 대해 말할 수 있고, 환경이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표명할 수 있다. 여유만 된다면 “먼저 패키지여행을 한 다음에 자유여행을 떠나 도시의 겉과 속을 다 보는 것이 좋은 여행법이다.” 저자는 《역사의 역사》가 역사를 자유롭게 여행하기 전에 패키지여행처럼 독자들에게 먼저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한다.

이 책은 ‘역사 서술의 역사’다. 헤로도토스의 《역사》,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사마천의 《사기》 등 역사를 서술한 당시 시대적 상황과 서술 방법, 해당 필자에 대해서 명료하게 설명한다. 그중 신채호의 이야기는 절로 가슴이 아린다. 

신채호는 “묘청의 난을 진압한 후 국가 공인 역사 교과서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 요동과 간도 지역을 민족사에서 삭제하고 중요한 사료를 다 폐기해 버린 김부식을 사대주의 역사관의 원흉으로 지목하기도 했다.”

다음은 《조선상고사》에 나오는 신라의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이야기다.
“신라가 고구려·백제 두 나라 사이에 고립된 한낱 약소국이 되자, 김춘주는 당에 들어가 당태종을 보고 힘닿는 데까지 자기를 낮추고 많은 예물로 구원병을 청했다. 아들을 당에 볼모로 두었고, 신라의 의복을 버리고 당의 의복을 입었으며, 신라의 연호를 버리고 당의 연호를 쓰기로 했다. 당태종이 편찬한 역사서와 『사기』, 『한서』, 『삼국지』 등에 있는 조선을 업신여기고 모욕하는 말들을 그대로 가져다 본국에 유포해 사대주의 병균을 퍼뜨리기 시작했다.

일제 강점기 시대에 “무장 독립 투쟁을 벌이다 옥중에서 순국”했기 때문에 미완성 역사서로 남은 《조선상고사》의 완벽한 모습을 보고싶다.
《역사의 역사》는 패키지여행 이상의 안내서가 될 것이다. 간결하고 독자를 배려한 가독성 짙은 문장과 저자가 소개하는 책들 중 한 권이상 읽고 싶어졌기 때문이다.

history of writing history


“역사는 언어의 그물로 길어 올린 과거다.” 읽고 나면 자연스럽게 어떤 그물이든지 사용하고 싶어진다. 특정 문화권이든지, 특정 시대라든지, 인류사일수도 있겠다. 인간에 대한 풀리지 않는 질문을 던지는 사람과 역사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추천한다.

사관은 역사적 사실을 해석하는 과정과 기록하는 과정에서 두 번의 변화를 맞는다. 카는 “역사는 창작적 요소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사실의 선택, 배열, 표현 그 자체가 창작의 영역에 속하는 기술이다”라고 말했다. 기록하는 사관에 대하여 이토록 명료하게 정리를 해주니 《역사의 역사》 손을 잡고 여행지를 이리저리 배회해보는 것도 낭만적이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환생표사 - 신갈나무

장르소설을 읽는 주된 이유 중에 하나는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싶어서입니다. 현실에서는 존재할 수 없는 전능한 능력을 가진 인물이 팍!팍! 능력을 사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장면이 그렇습니다. 대부분 이 전능한 능력은 무력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환생표사는 조금 다릅니다. ‘말빨’에 집중되어 있지요. 그렇다고 기연이 없거나 주인공이 무력이 약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기연을 얻어 내공만큼은 절대고수에 육박하지만 깨달음과 초식 운용 능력이 사사합니다. 그래서 꾀와 말빨로 대부분의 사건들을 해결합니다.  아래는 환생표사의 한 장면입니다. 

맥북 사용설명서 - 블루투스 기기로 이 컴퓨터 깨우기 허용

당신의 맥북이 잠자는 동안에도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고 발열증상이 있다면 이것을 의심해 보세요. 에어팟이나 각종 블루투스 기기들 때문에 맥북이 제대로 잠들지 못하고 불면의 밤을 지새우고 있을 수 있습니다.

전직지존 - 장영훈

  백소천은 무림맹에서 승승장구, 탄탄대로의 상황입니다. 그런데 흑천맹주와 정사대전 최후의 일전으로 단전을 뜯깁니다. 승승장구, 탄탄대로의 두 배속으로 몰락합니다. 유배와 마찬가지인 시골로 발령이 나고 그곳에서 기연을 만납니다. 단전 안에 단전을 만드는 기연이죠. 다시 무림맹 본단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저는 이후에 백소천이 무적이 되어 다 쓸어버리는 줄거리를 상상했습니다만, 장르는 로맨스와 힐링물로 넘어갑니다. 인간적인 매력으로 정사를 쓸어 담아 버립니다. 백소천의 매력에 쓸린 정사대전은 자연히 억제가 되고, 심검지경을 이룬 소천은 모든 관계를 끊고 은거에 들어갑니다.  다루를 운영하며 염원했던 평온하고 평범한 일상을 살아나가는데, 과거의 인연들이 자연스럽게 소천의 다루로 몰리게 됩니다. 그러다 큰 사건에 휘말리고 다시 한 번 무림을 구하는 이야기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진지한 투쟁의 앞 부분보다, 힐링물로 장르가 전환되고 나서가 더 재미있었습니다. 장르소설 중에는 끝까지 읽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는 작품들이 굉장히 많은데 장영훈 작가의 작품은 다 읽어보진 못했지만 그래도 읽었던 작품들은 전부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전직지존에서는 현재 시대에 있는 아이템들을 무협 세상과 결합한 아이디어들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는 청춘주점입니다. 청춘주점은.. 그러니까 나이트 클럽입니다. 이 청춘주점에서 흑천맹주와 무림맹주가 우정을 다지는 모습은 유쾌합니다. 청춘주점에서 소천은 정인과 '조우'하기도 하죠.